DB/DB정보

DCL / DML / DDL / TCL

프렌치말뚜기스 2023. 8. 31. 16:25
반응형

DCL, DDL, DML, TCL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에서 사용되는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의 다양한 종류의 명령어들을 나타냅니다.

 

 

Data Control Language (DCL)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권한과 보안을 관리하는 명령어
- GRANT 특정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권한을 부여
- REVOKE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부여된 권한을 취소
Data Definition Language (DDL)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고 조작하는 명령어
- CREATE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
- ALTER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구조를 변경
- DROP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
Data Manipulation Language (DML) 데이터 조작과 관련된 작업을 처리하는 명령어
- SELECT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서 원하는 정보(데이터)를 검색
- INSERT 새로운 행(row)을 테이블에 추가
- UPDATE 이미 존재하는 행(row)의 값을 수정
- DELETE 이미 존재하는 행(row)을 삭제
Transaction Control Language (TCL) 작업 단위인 "트랜잭션"을 관리하는 명령어
- COMMIT 변경 사항들을 영구적으로 저장하여 커밋
- ROLLBACK 롤백 가능한 변경 사항들을 취소하여 이전 상태로 되돌림

 

각각의 명령어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, 수정, 삭제 및 조작하는 데 사용됩니다.

 

Data Control Language (DCL)

DCL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권한과 보안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
주요한 DCL 명령어로는 GRANT와 REVOKE가 있습니다.

 

1. GRANT: GRANT 문은 특정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 객체(테이블, 뷰 등)에 대한 특정 권한을 부여합니다.

   예를 들어, SELECT, INSERT, UPDATE 및 DELETE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

2. REVOKE: REVOKE 문은 특정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부여된 권한을 취소합니다. 이를 통해 보안 및 접근 제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 

Data Definition Language (DDL)

DDL은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
주요한 DDL 명령어로는 CREATE, ALTER 및 DROP이 있습니다.

 

1. CREATE: CREATE 문은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객체(테이블, 인덱스 등)를 생성합니다.

2. ALTER: ALTER 문은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구조를 변경합니다. 예를 들면 열 추가/삭제 혹은 제약 조건 변경 등입니다.

3. DROP: DROP 문은 데이터베이스 객체(테이블, 뷰 등)를 삭제합니다.

 

 

Data Manipulation Language (DML)

DML은 데이터 조작과 관련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 주요한 DML 명령어로는 SELECT, INSERT, UPDATE 및 DELETE가 있습니다.

 

1. SELECT: SELECT 문은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서 원하는 정보(데이터)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
2. INSERT: INSERT 문은 새로운 행(row)을 테이블에 추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
3. UPDATE: UPDATE 문은 이미 존재하는 행(row)의 값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
4. DELETE: DELETE 문은 이미 존재하는 행(row)을 삭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
 

Transaction Control Language (TCL)

 

TCL은 하나 이상의 SQL문으로 구성된 작업 단위인 "트랜잭션"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
 

1. COMMIT: COMMIT 문은 한 번에 실행되거나 롤백될 수 있는 모든 변경 사항들을 영구적으로 저장하도록 지시합니다.

2. ROLLBACK: ROLLBACK 문은 아직 커밋되지 않고 롤백 가능한 모든 변경 사항들을 취소하여 이전 상태로 되돌립니다.

3. SAVEPOINT / RELEASE SAVEPOINT: SAVEPOINT와 RELEASE SAVEPOINT문으로 중간 단계에서 롤백할 수 있는 지점(Savepoint) 설정과 해제가 가능합니다.

반응형

'DB > DB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B 정규화  (0) 2023.11.07
Slow Query  (0) 2023.10.04
DB 일반 Lock과 DeadLock  (0) 2023.09.27
CDB와 On-premise  (0) 2023.08.25